이동평균선과 추세의 의미와 종류,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은 매일 변화하는 주가를 그 일정기간의 일수로 평균내어 나눈 수치들을 연결한 선을 의미합니다.
그 종류에는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00일선, 500일선, 1000일선, 등이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이동평균선만을 알아 보겠습니다.
5일 이동평균선은 생명선이라고도 하며 최근 5일까지의 종가를 평균내어
더한 후 5일로 나눈 수치를 말하는 것입니다.
단기 시세를 파락악는데 도움이 되지만 대세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20일 이동평균선은 세력선이라고도 하며 한 달 동안의 주가의 흐름을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주가의 지지와 저항을 읽을 수 있으므로 중요합니다.
60일 이동평균선은 수급선이라고도 하며 한 분기인 3개월간의 주가를 흐름을
표시한 선으로 전체적인 주가 전망을 예측- 수급이 매수쪽인지 매도쪽인지를
파악하는데 추세를 판단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20일 이동평균선은 경기선이라고 하며 6개월간의 주가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용하면서 주가가 경기보다 6개월간 앞선다는 경기의 선행지표를 쉽게 알 수 있어
전체적이 주가의 큰 흐름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0일 이동평균선은 10개월간 주가흐름을 나타낸 선으로 경기의 전망과 같이
움직인다고 보기 때문이며 240일선으로 활용하는 분도 있지만,
최근에는 주로 240일선의 1년 단위보다는 짧게 200일선으로 더 많이 활용한다.
추세란?
추세란 트렌드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주가의 진행방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주가의 추세는 한번 방향을 잡으면 그 방향으로 계속하여 나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그것을 물리학에서는 관성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주가 차트에서 일봉에서는 단기추세라고 하며 주봉과 월봉에서는 중장기추세라고 한다.
추세를 분석하는 이유는 주가의 흐름을 파악해서 효과적인 매수, 매도 타이밍을
포착하려는데 있다.
추세의 종류로는 상향 추세선과 하향추세선 그리고 횡보추세선이 있다.
상향추세선은 주가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이은 선으로 주가의 지지선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향추세선은 주가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하여 이은 선으로 주가의 저항선의 역할을 하게 된다.
횡보추세선은 주가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거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하여 이은선이라 할 수 있고
박스권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상향 추세선과 하향추세선 그리고 횡보추세선을 차트를 통해 알아 보자.
상향추세선의 예
하향추세선의 예
횡보추세선의 예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 손절매의 중요성 (0) | 2023.02.06 |
---|---|
박스이론에서 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의미, 거래량의 중요성 (0) | 2023.02.06 |
보조지표의 의미와 활용방법(MACD), 차트를 쉽게 배우는 방법 (0) | 2023.02.06 |
매물대, 데드 크로스와 골든 크로스 (0) | 2023.02.06 |
주식이란? 차트란?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