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조지표의 의미
보조지표란 기술적 분석을 위한 보조적인 지표로 차트의 봉과 거래량과 함께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요소중에 하나이다.
2. 보조 지표의 활용
주식 초보자의 경우 너무 많은 보조지표에 압도되어 어느 지표를 사용해야 하는지와
정말 잘 맞는지 아니면 수익을 많이 내는지 궁금해 하게 된다.
하지만 시장에서 주가를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면 보조지표는 보조지표일뿐이므로
잘 보지 않게 되는 경우이다.
3. MACD
이번 시간에는 그 중에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의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MACD는 이동평균선의 이동과 확산지수라고 할수 있는데 증권사의 경우는 고정적인
숫자로 표현되어 있지만 활용하는 사람에 따라 숫자를 조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MACD' 분석법은 단기 이동평균선(12)과 장기 이동평균선이(26) 멀어지게 되면
(Divergence) 다시 가까워지게(Convergence)되는 속성(성질)을 이용하여
두개의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제일 큰 시점을 찾아내는 분석 기법으로
지수이동평균선(9)과 교차점을 이용하여 매수 매도 시점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외국의 경우는 매수는 8.17.9 로, 매도는 12.25. 9를 사용하여 지표의 오류를
피해보려고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의 지표숫자를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확대하여 장기지표로 설정하여 60.120.9로 설정하여 보기도 한다.
공부에 도움이 되셨기를 기원합니다.
차트의 실례를 보겠습니다.

차트를 쉽게 배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개인투자자들이 물어 보는 첫번째가 전문가님 차트를 쉽게 배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라고 질문한다.
하지만 개인투자자 대부분이 열심히 차트를 보지는 않는다.
자신과 관련된 종목의 보고 싶은 차트만 보고 만다.
차트를 쉽게 배우는 방법의 첫 번째가 끊임없는 차트를 돌려보고
눈에 익혀야 한다는 것이다.
큰 추세를 볼 때는 주봉과 월봉을 먼저 보고 작은 추세를 볼 때는
일봉을 본다.
문제는 차트를 볼 때 너무 작게 보아 캔들에 너무 의존하여 해석하는
경우가 초보자들의 일반적인 행동이다.
차트는 길게 전체적으로도 늘려 보고 줄여도 보면서 자주 보다 보면
주가의 흐름이 서서히 보인다.
추세를 볼 때는 큰 흐름으로 보아 주봉과 월봉을 볼 때도 줄여보고
늘려보는 반복적인 행동을 하면 점점 눈에 차트가 익혀져 간다.
증권사의 차트에는 자동넘기기 기능이 있어 5-7초 간격으로 넘겨서 보면 된다.
숨은 그림을 찾을 때 보이지 않는 그림이 거꾸로 보면 보이듯이
추세도 거꾸로 보고 분석하면 쉽게 보이는 경우도 많다.
중점적으로 보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큰손들인 외국인 기관 들의 거래량과 이평선의 우상향인지 우하향인지
바닥에서 거래량인지 고점에서 거량인지 이평선의 결집현상인 블랙홀인지
등을 파악해 보는 훈련을 해야 한다.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 손절매의 중요성 (0) | 2023.02.06 |
---|---|
박스이론에서 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의미, 거래량의 중요성 (0) | 2023.02.06 |
매물대, 데드 크로스와 골든 크로스 (0) | 2023.02.06 |
이동평균선의 종류와 의미 (0) | 2023.02.06 |
주식이란? 차트란?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