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 분석의 정의
주가는 기업의 내재가치가 결정하는 것으로서 경제, 산업
및 기업의 기본적 요인(fundamental factor)에 기초한
기업의 내재가치 평가가 핵심이다.
여기서 기본적 요인이란 기업의 미래 수익력과 자산
가치를 말하며, 내재가치란 기본적 요인에 근거하여
추정한 가치를 말한다.
따라서 적극적인 투자관리에 의해 일시적으로 내재가치에
비해 과대, 과소 평가 된 주식을 식별하는 것이 목적이며,
중요한 포인트 인 것이다.
내재가치 -------------> 초과이익
적극적 투자관리
대체로 실물경기에 앞서서 가까운 미래에 대한 가늠을
하는 것이며, 과거의 데이타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예상되는 실적을 전망하고 그것을 투자의 지표로 삼는 것
이다.
따라서 그 기업이 실현하는 미래이익에 의해 가치가 결정
되며, 이는 경제 전체적 요인, 산업요인 및 그 기업의 고유
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시장의 이자율, 인플레이션, 기업의 위험도 등에 의해
현금흐름 할인에 영향을 받는다.
기본적 분석 방법은 "Top-Down"(하향분석)방식과
"Bottom-up"(상향분석) 방식으로 구별하는데 일반적으로
"Top-Down" 에 의해 분석하게 된다. "Top-Down" 방식은
거시경제 분석 → 산업분석 → 기업분석 처럼 분석 범위를
좁혀 나가는 방법이다.
"Bottom-up" 방식은 거꾸로 생각하면 된다.
기본적 분석은 내재적으로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데, 내재
가치의 평가가 매우 복잡하고 주관적이라는 점과 내재가치
가 반드시 주가으로 실현되지는 않아 시장가격과 심한
괴리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미래에 기업의 본질가치가 예상대로 들어맞는 경우
는 없을 수도 있다. 이처럼 실적이란 뚜껑을 열어봐야 아는
것이며, 현시점에서 미래의 가치를 판단하기에는 수많은
변수로 인해 그러한 전망이 들어맞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기본적 분석의 한계가 여러가지가 있지만 몇가지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내재가치 분석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이론이 복잡
하여 이해가 쉽지 않다.
2. 내재가치 분석자료로 사용되는 회계정보의 분식회계등
신뢰성 문제와 과거 정보에 한계가 있다.
3. 투자자의 심리 요인 및 계량화 할 수 없는 요인은 재무제
표에 나타나지 않는다.
기본적 분석만으로 모든 것을 맹신하는 것은 투자에 있어서
조심할 부분이며,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과 함께 경제적
요인등 여러가지 부분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투자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적 분석] 3. 재무제표와 재무상태표 (0) | 2023.02.07 |
---|---|
[기본적 분석] 2. 회계기준 (0) | 2023.02.07 |
OBV란? PER란? (0) | 2023.02.06 |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 손절매의 중요성 (0) | 2023.02.06 |
박스이론에서 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의미, 거래량의 중요성 (0) | 2023.02.06 |